본문 바로가기
교육 전반

리커트 척도로 사회 문제와 신념에 대한 태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by dead373 2024. 6. 22.

사회 문제나 개인의 신념에 대한 태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은 단순히 '찬성' 또는 '반대'로 구분되지 않고,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나타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을까요?

 

리커트 척도로 사회 문제와 신념에 대한 태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바로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라는 설문조사 기법을 활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리커트 척도는 사회 문제나 신념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다양한 수준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커트 척도의 개념과 활용 방법, 그리고 실제 연구에서의 적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리커트 척도란 무엇인가?

리커트 척도는 사회 문제나 신념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설문조사 기법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응답자에게 특정 문장을 제시하고, 그 문장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는지를 묻습니다. 응답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부터 '완전히 동의함'까지의 연속적인 척도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됩니다.

 

연속적인 스펙트럼으로 태도 측정

리커트 척도가 주목받는 이유는 사람들의 태도가 단순히 긍정 또는 부정으로 구분되지 않고,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잘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정치인에 대해 사람들은 '적극 지지한다', '약간 지지한다', '중립적이다', '약간 반대한다', '강력히 반대한다' 등 다양한 입장을 가질 수 있습니다. 리커트 척도는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척도 수준 활용 가능

리커트 척도는 주로 5단계 또는 7단계, 9단계 등으로 구성됩니다. 5단계 척도의 경우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와 같은 선택지가 제공됩니다. 척도의 단계 수를 늘리면 응답자의 태도를 보다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7단계나 9단계 척도가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리커트 척도는 어떤 경우에 사용될까?

리커트 척도는 주로 설문조사를 통해 특정 사회 문제나 신념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측정할 때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정치인에 대한 지지도, 제품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자아 존중감 수준 등을 조사할 때 리커트 척도가 널리 사용됩니다.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

리커트 척도는 사회과학, 경영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복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마케팅 분야에서는 브랜드 충성도를, 교육학 분야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측정하는 데 리커트 척도가 활용됩니다. 이처럼 리커트 척도는 사회 현상을 다각도로 탐구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설문조사 설계 시 고려사항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설계할 때는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척도의 단계 수를 결정해야 합니다. 5단계, 7단계, 9단계 중 연구 목적과 대상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각 단계의 표현을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등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커트 척도의 실제 활용 사례

리커트 척도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몇 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직장인의 직무 만족도 조사

한 경영학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직무 만족도를 리커트 척도로 측정했습니다. 연구진은 '나는 현재 직무에 만족한다', '나는 상사와의 관계에 만족한다', '나는 회사 복지 제도에 만족한다' 등의 문항을 제시하고, 응답자들이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 5단계로 평가하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직장인들의 직무 만족도 수준과 영향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측정

심리학 분야의 한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자아 존중감을 리커트 척도로 측정했습니다. 연구진은 '나는 내 자신에 대해 만족한다',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역코딩)' 등의 문항을 제시하고, 응답자들이 '매우 불만족(1점)'부터 '매우 만족(5점)'까지 5단계로 평가하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자아 존중감 수준과 관련 요인을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품질 평가

마케팅 분야의 한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들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를 리커트 척도로 측정했습니다. 연구진은 '온라인 쇼핑몰의 배송 서비스 품질에 만족한다', '온라인 쇼핑몰의 반품/교환 서비스 품질에 만족한다' 등의 문항을 제시하고, 응답자들이 '매우 불만족(1점)'부터 '매우 만족(5점)'까지 5단계로 평가하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리커트 척도의 활용과 시사점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리커트 척도는 사회 문제나 신념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다양한 수준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사회 현상을 보다 정밀하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면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될까요? 첫째, 사회 문제나 신념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보다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둘째,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리커트 척도를 활용할 수 있어 사회 현상을 다각도로 탐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설문조사 설계 시 응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리커트 척도는 사회 문제와 신념에 대한 태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현상을 심도 있게 탐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리커트 척도를 적극 활용하여 사회 문제 해결과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거나 관련 논문을 읽을 때,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까요? 척도의 단계 수와 각 단계의 표현이 적절한지, 연구 목적과 대상에 부합하는지, 응답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있었는지 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리커트 척도의 활용도를 높이고,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