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전반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의 역할과 선정 기준 : 논문 작성의 핵심 주체를 이해하다

by dead373 2024. 6. 29.

논문 작성은 연구자들에게 있어 중요한 과정이자 업적이 됩니다. 하지만 논문 작성 과정에서 저자들의 역할과 책임은 각자 다르게 정의됩니다. 그중에서도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는 논문의 핵심 주체로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죠. 과연 교신저자란 누구이며,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할까요?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의 역할과 선정 기준 : 논문 작성의 핵심 주체를 이해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신저자의 정의와 역할, 그리고 교신저자로 선정되는 기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논문 작성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이라면 누구나 알아두어야 할 교신저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논문 작성 시 교신저자 선정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교신저자란 무엇인가?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는 논문의 내용과 연구 과정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저자를 말합니다. 다른 연구자나 학술지 편집자가 논문과 관련하여 문의할 사항이 있을 때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대표 저자인 것이죠. 따라서 교신저자는 논문의 내용과 연구 과정을 완벽하게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다른 저자들과의 소통과 협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교신저자의 책임과 역할

교신저자는 논문 작성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책임과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첫째, 논문의 내용과 연구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숙지가 필요합니다. 둘째, 다른 저자들과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셋째, 학술지 편집자나 다른 연구자들의 문의사항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답변해야 합니다. 넷째, 논문 출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처럼 교신저자는 논문의 내용과 연구 과정에 대한 총괄적인 책임을 지며, 다른 저자들과의 소통과 협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교신저자로 선정되는 것은 단순한 명예가 아니라 막중한 책임이 따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가 교신저자가 되는가?

그렇다면 실제로 누가 교신저자로 선정되는 것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독립 연구자의 경우

독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논문을 작성한 연구자의 경우, 해당 연구자가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가 됩니다. 논문 전반에 대한 이해와 연구 과정에 대한 숙지가 가장 잘되어 있기 때문에 교신저자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학원생의 경우

대학원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지도교수가 교신저자로 선정됩니다. 하지만 대학원생이 연구 설계부터 실험 진행까지 주도적으로 수행했다면, 대학원생 중 가장 기여도가 높은 학생이 교신저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연구 과정에서의 기여도와 논문 작성에 대한 주도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공공기관 연구원의 경우

기업이나 공공기관에 소속된 연구원의 경우, 대체로 직위가 가장 높은 연구원(책임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이 교신저자로 선정됩니다. 이는 연구 설계와 아이디어 제안 등 연구 전반에 걸친 기여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물론 직위가 낮더라도 실험 수행 등 기여도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면 해당 연구원이 교신저자가 될 수 있습니다.

"교신저자는 논문 작성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저자로 평가받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저자들 간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교신저자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과학저널 편집위원 인터뷰 中



교신저자 선정의 핵심 기준

교신저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어떤 기준이 적용될까요? 교신저자는 논문 작성 과정에서 가장 큰 기여를 한 저자로 평가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논문의 내용과 연구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다른 저자들과의 협력 및 소통 능력, 그리고 논문 출판 과정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 등이 주요 선정 기준이 됩니다.

 

특히 연구 설계, 실험 수행, 데이터 분석, 원고 작성 등 논문 작성의 전 과정에 걸쳐 가장 큰 기여를 한 저자가 교신저자로 선정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논문의 내용과 연구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함께, 다른 저자들과의 원활한 소통 능력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렇다면 교신저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우선 논문 작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연구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합니다. 또한 다른 저자들과의 긍정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논문 출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교신저자로 선정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교신저자의 역할과 선정 기준 이해하기

이번 포스팅을 통해 교신저자의 정의와 역할, 그리고 교신저자로 선정되는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교신저자는 논문 작성 과정에서 가장 큰 기여를 한 저자로서, 논문의 내용과 연구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다른 저자들과의 원활한 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번에 배운 교신저자의 역할과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향후 논문 작성 시 교신저자로 선정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요? 또한 교신저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논문 작성 과정에서 교신저자와 다른 저자들 간의 협력 관계를 어떻게 구축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세요.